12~16. JS 기초문법 List push : 리스트의 마지막에 추가, 인덱스를 반환 Dictionary push안쓰고, 없는 키에 바로 값을 넣으면 생성된다. 값으로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split 함수 사용 나누어진 리스트를 반환한다. 함수 만들기 덧셈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정의한다. 두 개의 값을 더한 값을 반환해준다. 함수에 alert기능 추가하기 alert메세지에 주어진 값을 활용한다. 조건문 if 20이상인 값이면 성인입니다를 출력한다. 반복문 for 0부터 20미만까지, i를 1씩 증가시키면서 총 20번 console.log를 실행한다. 응용예시 1. 서울시 미세먼지 정보 활용하기: 구 별로, 미세먼지 정보 가져와서 출력하기 가져온 미세먼지가 40이하일 경우만 출력하기 2. 서울시 따릉이..
주어진 수열에서 연속하는 수를 합쳤을 때의 최대값 구하기 - i개의 수를 가진 수열 a[], 인덱스 i까지의 수 중 a[i]와 연속한 수를 합한 최대값을 d[]에 저장함 - d[i]: a[i]와 연속한 수들의 합 중에서 최대값 - 즉, d[i]는 i-1까지의 연속한 수들의 합 중 최대값에서 a[i]를 더할지 말지 선택하여 나온 결과이다. - d[]를 구한 뒤, 저장된 수 중 최대값을 고르면 정답.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191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a[] = new int[n + 1];..
1,2,3의 합으로 주어진 수를 표현하는 방법 출력하기 주어진 수가 1,2,3일 때, 각각의 반환값 1,2,4를 저장한다. 덧셈으로 표현될 때 마지막 더해지는 수가 1,2,3인 경우를 생각하여 d[x]=d[x-1]+d[x-2]+d[x-3] 을 작성한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909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 = sc.nextInt(); while (t-- > 0) { int n = sc.nextInt(); int[] d = new int[n + 1]; System.out.println(operate(n, d)); } } st..
n자리 수 중 각 자리 숫자가 연속하는 수인 계단수의 갯수를 출력하기 - d[n+1][10]짜리 배열을 생성하여 메모이제이션 - d[i][j]: i자리수의 수 이면서, 가장 끝자리(일의 자리) 숫자가 j인 계단수의 갯수 - n=1일때, 예외처리로 d[1][1]~d[1][9]에 모두 1을 저장함 - i자리 수이면서 j로 끝나는 계단수는, i-1자리 수이면서 j의 연속하는 수인 j-1, j+1으로 끝나는 계단수의 합과 같다. - 즉, d[i][j]=d[i-1][j-1]+d[i-1][j+1]이다. - j가 0일 때, 9일 때는 각각 1과 8밖에 연속하는 수가 없으므로 예외처리해준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10844 { static final long mob..
N개의 카드를 1~N개짜리 카드팩으로 고를 때 가장 비싸게 사는 가격을 찾기 - 1~n개의 카드가 들어있는 카드팩의 가격을 p[1]~p[n] 배열에 저장한다. - 1~n개의 카드를 고를 때 가장 비싸게 가격을 d[1]~d[n] 배열에 저장한다. - if(d[x]>0)으로, 메모리제이션을 확인한다. 없으면 시간 초과발생. - x개를 고를 때, x-1개를 가장 비싸게 사고, 1개짜리 카드팩을 사는 경우, x-2개를 가장 비싸게 사고, 2개짜리 카드팩을 사는 경우, ... 0개를 가장 비싸게 사고, x개짜리 카드팩을 사는 경우까지 가격을 반복문으로 비교하며 최대가격을 d[x]에 저장한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11052 { public static void..
수업목표 서버-클라이언트 역할 이해 HTML. CSS 기초지식 이해, 부트스트랩 사용 Javascript 기초 문법 사용 01~03. HTML, CSS 기본 개념 네이버 웹페이지의 글을 수정했다. 웹서비스의 동작원리가 뭘까? 힌트1: 내 컴퓨터에서만 수정된다. 원리가 뭘까? 힌트2: 내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는 사실, 인터넷과 관련이 없다. 힌트3: 새로고침하면 원상복귀된다. 왜? 서버로 부터 새로 정보를 받아오기 때문이다. 브라우저의 역할: 서버에 요청한다 -> 받아와서 그려준다. html: 뼈대 css: 꾸미는 것(예: 컬러, 폰트사이즈 등을 지정하는 것) js: 클릭하면 이동하는 것, 움직이는 것 등 영화예매사이트에서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좌석이 실시간으로 보이는 것? 예쁘게 그리지않고, 데이터만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