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또라는 개발자 글쓰기 커뮤니티의 6개월을 마치며, 회고글을 작성하려합니다.회고는 KPT(Keep, Problem, Try) 형식을 통해 계속 지속하고 싶은 점과 문제점, 앞으로의 액션 아이템을 생각해보려합니다.개발자 커뮤니티나 개발자의 글쓰기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Keep계속 유지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지속적인 글쓰기와 네트워킹입니다.글쓰기글또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사실 이직을 위해 기술 블로그가 도움이 될까 싶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글쓰기 자체에 대한 어떤 욕심이나 매력을 갖지 못한 상태로 일종의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해 반강제적인 루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글또를 지원했습니다.결론적으로, 이직에 기술 블로그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고(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나, 인터뷰 ..
퇴사 후 이직, 후회했을까? 3년차 개발자의 이직 준비 기록이직을 고민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선 퇴사 후 이직이 괜찮을까?"라는 질문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저 또한 같은 고민 끝에 이직처를 확정하지 않은 채 퇴사를 결심했고, 그 이후의 과정과 결과를 공유해보려 합니다. 저는 첫 회사에서 2년 3개월 동안 근무한 뒤 퇴사를 했고, 이 글이 비슷한 고민을 하는 개발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1. 퇴사 후 이직, 후회했을까?✅ 선퇴사를 결정한 이유왜 퇴사를 결심했는지웹 개발을 하는 사람으로서 프론트엔드 직무를 좀 더 다양하게 경험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웹 서비스 특성과 로드맵을 예상해봤을 때, 아쉬움이 남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하는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갈증..
최근 이직을 시도하는 중에 여러 회사의 전형들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이 과정에서 개발자의 성장 과정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고, 제 경험을 바탕으로한 흔히 겪는 고민들을 진정성있게 전해보고자 합니다.현재 가진 경험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새로운 도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길을 걸어가고자 합니다.불안감을 넘어 경험의 가치 발견하기신기술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접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감은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이다.하지만 이력과 면접을 준비하면서 결국 내가 직접 고민하고 경험한 것들을 정리하며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당시의 상황, 개발 리소스, 문제 정의를 명확히 재고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들은 실제로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중요한 것은 내가..
개발 배경설명사이드 프로젝트로 데이팅앱을 개발 중.네이티브 앱에 대한 지식은 없어서 익숙한 리액트를 사용하여 React Native으로 하이브리드 앱 선택. 일부 기능 웹뷰를 띄워 앱과 웹뷰 혼합형태로 제작. 처음 사용해보는 RN, 웹소켓 통신 기술 --> 내가 얼마나 빠르게 새로운 기능 구현을 해볼수있을까 셀프 챌린지백엔드와 협력해서 대략 이틀만에 기능 구현(하루당 3시간?정도 소모) 기술 스택App: React Native, Expo, TypeScript, React-native-paper (빠른 생산성을 위해 UI 컴포넌트 직접구현 X)Web: Next v14, React v18, TypeScript 채팅 기능을 위해 소켓서버(redis)을 올리고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인증 후 소켓연결.newMess..
들어가며최근 외주를 통해 프리랜서로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마침 성능 최적화에 대해 공부중이었고 이를 적용해서 사이트를 분석 및 개선해볼 수 있었습니다.환경Next.js v12.3 Page routerReact.js v18.2.0Page Speed Insight와 LightHouse를 통해 확인하며 개발했고, 최종적인 느린 4G 네트워크의 모바일 환경에서 성능 지표 점수를 약 52%를 개선하였습니다. 기존 38점이던 지표에서 58점으로 개선하여 나쁨에서 개선 필요 단계로 상승할 수 있었습니다.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개선 작업의 효과가 있어 공부한 내용을 Next.js 환경에 적용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Page Speed Insight에서는 모바일 환경을 기본적으로 느린 4G 네트워크로 제한하..
웹 성능이 중요한 이유웹 성능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고, 실제로 해당 사이트가 로딩되어 내용을 볼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즉 웹 로딩 시간을 의미한다.따라서, 웹 성능이 좋다는 것은 웹 로딩 시간이 짧아 빠르게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성능이 좋지 않다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없어 기다리지 않고 이탈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실제로 월마트 웹사이트에서 조사한 결과, 평균 로딩 시간을 1초 줄이면 구매율이 약 2% 증가한다는 통계가 있다. 로딩이 0-2초 내에 완료되었을 때 구매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후부터 점점 떨어지게 되었다.직접적으로 물건을 판매하는 웹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기업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선입견을 갖게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용자들이 이탈하지 ..